'소현세자'에 해당되는 글 2건

昭顯世子 1612.1.4(음력)-1645.4.26(음력)



소현세자에 대한 대중적 여론이 

상당히 동정적, 호의적이다보니 

현대의 창작물에서는 좋은 대접을 받는다. 


사극에서 등장할 때는 아버지 인조가 악역으로 자주 나오는 데 반해 

주로 주인공의 조력자 역을 많이 한다. 


비중있게 나오지는 않아도 선역으로 잘 나오는 편. 

능력과 기대감은 있었지만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기 때문인지 

역사를 기반으로 한 소설의 주인공으로 많이 등장한다.



2010년 3월에는 김인숙 작가가 그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인 <소현>을 발표했다. 

작품 속 소현세자가 비록 대단히 능동적인 행동은 하지 않지만, 

묘사나 고증은 괜찮은 편.




만화가 박시백은 

자신의 만화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 

"사대부의 바다에 고립된 광해군을 생각하자"라고 큰 기대를 걸지 않으면서도

"그(사대부)들을 설득해가면서 새로운 조선을 건설하는 건 어려웠겠지만, 

성리학 일변도였던 조선 사회에 적지 않은 충격은 주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유자들 눈에는 문제점도 많았겠지만, 

세계사적 전환기에 반드시 필요한 인격과 정치적 능력을 가졌던 세자' 라고 

긍정적으로 평했다. 


그러나 이는 '역사의 만약'을 통한 평가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무의미하다. 

당연히 학계에서 소현세자에 관해 가장 주목하는 부분은 

그가 심양에서 벌인 외교, 

대외활동과 그의 죽음(사인, 병증, 장례절차)과 관련된 부분일 뿐이다. 



'만약' 소현세자가 살아남아 왕위를 계승했다면 

유교 교조주의에 찌든 조선에 나타난 기린아가 되었을지, 

박시백의 추정처럼 어느 정도 충격만 주고 결국은 흐지부지 평범한 왕이 되었을지,

사대부들과 대립하다가 반정으로 폐위되는 폭군이 되었을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어쩌면 일본에게 침탈당함으로써 

근대화가 실패한 우리나라 역사의 대한 보상 심리라고도 볼 수 있다. 


소현세자가 왕이 되었다면 근대화를 이룰 수 있었다고 믿는 줄도 모른다. 

소현세자가 왕이 되었다면 그의 치세에 표착해 왔을 헨드릭 하멜 일행을 통해 

네덜란드와 수교하고 무역을 장려했을거라는 나름대로의 근거를 드는 주장이긴 하다.


하지만 인조 다음 왕인 효종이 능력이 뛰어난 왕이었는데다가 

그 역시 외부 기술이 관심이 많은 인물이었다는 점에서 이는 부당하다.


소현세자가 왕이 되었다고 해도 결과는 크게 바뀐다는 보장은 없다. 


소현세자가 서양의 많은 문물들을 배우고 받아들이는데 창구가 되었던

일종의 선배격이었던 청나라는 훗날 19세기 서양 열강의 이권밭이 되어버렸다.








블로그 이미지

Preserved_Flower ♡

,

병란 이전의 소현세자


1612년 인조의 장남으로 태어난 그는 12살이 되던 해 

아버지의 반정이 성공함으로서 하루 아침에 원자가 되었다. 


보통 아버지가 세자를 거치지 않고 

왕위에 오를 경우 자신의 큰 아들을 바로 형식상 원자로 삼았다가 

세자로 봉하는데 소현세자의 경우 한참동안 세자에 봉해지지 못하다가

그 후 1625년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당시 인조반정의 명분은 백성들이 보기에 매우 부족했고 이때문에 세자의 책봉이 미뤄질 정도로 민심이 어지러웠다고 한다.



그후 불과 2년 만에 정묘호란이 발발한다. 

이괄의 난으로 북도 방어력이 극히 약화된 상황에서

막아내기 힘들다고 판단한 인조는 

자신은 강화도로 향하고 

세자는 분조(조정의 일부)를 이끌고 전주로 내려가게 했다.


전란이 끝난 그 해 말 강석기의 둘째 딸과 가례를 올리게 된다.

1636년 병자호란에서 조선이 치욕적으로 패배하면서 

동생인 봉림대군과 함께 청나라의 묵던(Mukden, 현재의 랴오닝성 선양시)으로 

끌려갔다.







블로그 이미지

Preserved_Flow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