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제32대 왕 우왕의 야사와 평가'에 해당되는 글 1건

고려의 제32대 왕 우왕의 야사와 평가


야사에는 사망할 당시 자신을 죽이러 온 사람에게 "왕씨 일족에게는 겨드랑이에 용의 비늘이 있다!"고 외치며 웃통을 벗어 그 용 비늘을 보여줬다고 한다.[19] 사극 용의 눈물에서도 우왕의 최후 장면에서 이 이야기를 채용했다. 정도전에서는 조금 더 현실적으로 각색되어 우왕이 직접 자기 몸에 인두를 대어 상처를 낸 후 이를 용의 비늘로 주장하다가 참수되는 모습이 나왔다.



이 야사를 채택한 저술 중에 이중환의 《택리지》가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용녀에 대한 일은 믿을 수 없지만,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태조(왕건)가 낳은 자녀들 중에 양쪽 겨드랑이 밑에 비늘이 있다 한다. 태조의 외가가 용이고, 용녀가 바다로 돌아가면서 어린 딸을 데리고 가서 다시 용이 된 것은 어린 딸이 시집가서 혹 왕자를 낳을까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그런 연유로 (왕실의) 여자 중에서 비늘이 없는 사람은 신하에게 시집보냈으나, 비늘이 있는 사람은 모두 대를 잇는 임금의 후궁으로 삼아 윤기(倫氣, 윤리와 기강)를 더럽히는 부끄럼도 서슴지 않았다. 중기에 들어서는 여동생을 비로 삼는 임금까지 있었다. 송사(宋史)에서도 "이러한 일은 이상하기 이를 데 없다"하였으나, 하지만 그런 일은 오직 왕가에서만 그러하였고 민간 풍속은 그렇지 아니하였음을 몰랐던 것이다. 우리 태조가 위화도에서 회군한 뒤에 왕우를 신돈의 자식이라 하여 폐위시켰다. 그리고 공양왕 요(瑤)를 임금으로 세우고, 또 공양왕으로 하여금 우를 강릉에서 베어 죽이도록 시켰다. 우가 형을 당하게 되자 겨드랑이를 들어 보이면서 "나를 신씨(辛氏)라 하지만 왕씨는 용의 종내기이므로 겨드랑이 밑에 비늘이 있는데, 너희들은 와서 보아라." 하였다. 참관하던 사람이 가까이 가서 보니 과연 그 말과 같으니 이것은 가장 이상한 일이었다."
(신정일 지음, 다시쓰는 택리지 1권 166페이지)



용비늘 이야기에서 더 나아가
이성계 일파가 그의 목을 베려고 했는데 
용의 후손이라서 
병장기가 먹혀 들어가지 않아 
죽이질 못하자 이성계가 마침 자신이 가지고 있던 
아버지 이자춘(환조)이 조상의 묘를 옮기다 나온 것을 
아들에게 준 명검인 전어도(傳御刀)로 손수 베어 죽였다는 일화가 있다. 

그 뒤 우왕이 가지고 있던 사진참사검이 
저주를 내려 이성계의 수하들이 피를 토하며 죽어가자 
무학의 조언에 따라 사진참사검 옆에 전어도를 꽃아 저주를 막았고, 
두 칼은 3일 밤낮으로 싸우며 울다가 
전어도는 박살나고 사진참사검은 금이 갔다고 한다. 

사진참사검은 비록 망가졌지만, 
이성계의 혈통에 내린 저주가 남아 있어서 
그것을 막기 위해 조선 왕실에서는 용의 기운을 가진 사진참사검과는 정 반대로 
호랑이의 기운이 담긴 사인참사검을 
신하들의 반발을 무시하고 정기적으로 제작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이 박살난 전어도와 금간 사진참사검은 
무학대사가 거두었고 현재는 행방이 묘연하다고 하는데, 
어디까지나 야사인 만큼 믿거나 말거나….

다만 후대로 내려갈수록 
왜곡이 심해진 왕이었을 가능성을 고려하더라도 
그렇게 유능했던 군주라고는 보기 어렵다. 

소년기의 막장행각을 뒤로 하고 
청년기에는 나름대로 정치적인 모습도 보여 줬지만 
결국 충동적이고 혈기를 누르지 못해 
폐위되어 살해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고 말았다. 

경순왕이나 순종(조선)이 찬탈자에 순응해서 
결국 왕위는 잃었어도 평생 잘 먹고 잘 산 것과는 대조된다.
그리고 그렇게 비참한 왕의 운명과 함께 고려왕조의 운명도 기울어졌다.










블로그 이미지

Preserved_Flow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