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제2대 왕 혜종 왕무



무덤과 피휘, 불천지주의 위세





개성에 있는 혜종의 순릉(順陵).

2009년의 모습으로 봉분도 깎여버렸고 

석물까지 많이 없어져 버렸다고 한다. 

고종 때 거란이 개경 인근까지 침입했는데 

이 때 순릉이 도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재위 내내 불안한 왕위를 누렸고 

묘호도 썩 좋지 않은 '혜'를 받은 혜종이지만, 

사후 왕위 계승이 몇번 더 격변을 거치면서 처지가 달라지게 된다. 


바로 정종, 광종과 성종의 후계가 모두 끊기면서 

왕위가 현종으로 넘어간 것. 


이후 고려 왕계는 현종의 후손들이 잇게 되는데, 

혜종은 태조의 맏이, 

즉 현종의 큰아버지 뻘로 취급되면서

무신정변까지는 혜종이 종묘의 불천지주에 있게 되었다. 


조선으로 치면, 현종이 세종대왕이라면 혜종은 태종의 위치에 있게 된 셈. 


혜종 오오 현종의 친아버지 왕욱(王郁)은 안종으로 추숭되었으나, 

주요한 신주에 오르지 못했다. 


그보다는 성종의 아버지 왕욱(王旭)이 대종으로 추숭되어 신주에 올랐다.


이 대종의 문제로 덕종 사후 정종(靖宗) 때 한국 역사상 첫 예송논쟁이 벌어졌다. 


이 직계보는 고려 문종, 고려 숙종으로 이어지게 된다.



혜종의 휘인 무(武) 역시 고려 내내 피휘 되어, 

모든 무라는 글자는 범 호(虎)로 대체되게 되었다.

민폐왕 즉, 고려시대에 무신은 호신이라고 불렀다. 

호신정변, 호신정권 이런 면에서 혜종은 그 재위는 안습했으나 

훗날 태조의 첫 계승자로서의 대접을 톡톡히 받았다.



블로그 이미지

Preserved_Flower ♡

,

고려의 제2대 왕 


2대 혜종 왕무 탄생설화



어머니 오씨는 시냇가 빨래터 설화의 시조가 된 인물이다. 


조선 세종 때에 서술된 고려사에 따르면, 


왕건이 나주를 점령한 뒤 시냇가를 지나게되었는데,


마침 오씨가 빨래를 하고 있었다. 


그런 그녀의 뒤에는 무지개가 펼쳐져 있었다고 한다. 


우연히 보게된 이 처자가 맘에 든 왕건은 그날 밤 그녀와 동침을 하였다.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에 반해 그녀를 단순한 쾌락의 대상으로 여겼는지 아니면 수태를 시킬 것을 두려워하였는지 모르겠으나, 왕건은 깔고 누운 돗자리에 질외사정을 하였다.


하지만 왕건의 됨됨이를 살핀 오씨는 

그가 돗자리 위에 사정한 정액을

손으로 쓸어 모아 그것을 음부에 넣었다. 


그렇게 해서 낳은 아들이 혜종이었다.


이는 야사가 아닌 비교적 객관적이라고 정사인 고려사에 존재하는 기록이다. 

현실적으로 이런 일이 가능했을 수도 있지만 

혜종의 정통성을 폄하하려는 목적으로 서술된 이야기로도 추측된다. 


왕건과 오씨 부인을 제외한 그 누구도 그날 밤에 있었던 일을 보지 못했겠지만, 

이러한 일화가 조선 세종시대에 활동하던 학자들이 고려사를 편찬할 때 

저본으로 삼았던 사료에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고려시대에는 이러한 이야기가 입에서 입을 통해 주변에 널리 알려져 있던 이야기였던 싶다.


혹은 왕건이나 오씨 부인이 아 그날 밤 그리하여 혜종이 태어난 것이지라며 

주변에 말을 했을지도 모르겠다. 


어쩼던 중요한 점은 이러한 일이 

정말로 태조와 오씨 부인이 동침했던 그날 밤에 일어났는지 

아니면 일어나지 않았는지가 역사라기 보다는 


민중들 사이에서 이러한 일이 회자되었다는 사실이 역사라는 점이다.




태몽이 용꿈이었기 때문에 

물을 좋아하는 용을 성격을 참조하여 

수태기를 느낀 오씨 부인은 

잠자리 곁에 한 바가지의 물을 떠 놓고 항상 손을 적신 채 잤다. 

왕건이 돗자리에 사정한 정액을 

오씨가 그것을 음부에 도로 넣음으로써 

그를 수태하였으므로, 

혜종의 얼굴은 돗자리처럼 자글자글 하게 주름살이 져서 

주름살 대왕이 그의 별칭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역시 혜종을 비하하기 위한 표현으로 여기는 견해가 있다.







블로그 이미지

Preserved_Flower ♡

,

고려의 제2대 왕 2대 혜종 왕무


惠宗仁德明孝宣顯義恭大王 諱武 字承乾 太祖長子 母曰莊和王后吳氏。後梁乾化二年壬申生 太祖四年 立爲正胤 從討百濟 奮勇先登 功爲第一 二十六年 五月 丙午 太祖薨 奉遺命卽位。 


혜종인덕명효선현의공대왕은 

이름이 왕무(王武)이고 자가 승건(承乾)이며, 

태조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장화왕후(莊和王后) 오씨(吳氏)이다. 

후량(後梁) 건화(乾化) 2년 임신년(912)에 탄생하여 

태조 4년(921) 정윤(正胤 : 태자)으로 책봉되고 

종군하여 후백제를 토벌할 때 용맹을 떨치며 선봉에 섰으므로 일등공신이 되었다.


태조 26년 5월 병오일에 태조가 죽자 유명을 받들어 즉위했다.


 - 고려사 혜종 총서





나주 출신인 장화황후 오씨의 소생으로 태조 왕건의 장남이다. 

아버지의 후삼국통일에 큰 공을 세울 정도로 녹록치 않은 인물이었으나, 

외가인 나주 오씨가 왕건의 다른 외가들보다 비교적 힘이 약한 집안이었다. 

29명의 왕비들 가운데에는 신라 왕족도 있었다


왕건은 경순왕에게 딸을 시집보내면서

동시에 경순왕의 딸을 아내로 맞으려 했는데 

겹사돈, 마땅한 딸이 없어 왕족으로 대신했던 것.



혜종의 권력은 그의 태생적인 한계로 인하여

불안정할 수 밖에 없었다.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그는 능력있는 인물이었지만, 뒷배경이 약했던 사람이었다.


다행히 정권 초기에는 왕건의 부탁을 받은 공신 박술희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었으나, 

박술희는 군사적인 기반은 지녔었지만 

정치적으로 실세를 쥐고 있던 정치인은 아니었다. 

박술희는 드라마 태조 왕건에 등장하는 바와 마찬가지로 

왕건의 친위무장정도 되는 지위를 가졌던 인물이었다.

결국 왕건의 후견인 선정이 완벽하지 못했던 셈으로, 

결국 박술희는 혜종의 적으로부터 왕을 지켜내지 못했고 

왕이 귀양가던 도중 자신도 왕규(혹은 정종)에 의해 살해당하였다.





여러모로 아버지인 왕건의 예리하지 못한 판단으로 인하여

크고 작은 피해를 겪은 인물이다. 

상기했듯 호족세력이 강했던 시기에서 

왕무의 외가의 실세가 강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왕건은 그를 위해 적절한 후견인을 지정해주지 못했다. 

왕식렴으로 대표되는 서경 세력이나 개경 및 황주 호족들, 

혹은 경주의 구 신라 왕가 세력 등 

마음만 먹으면 쟁쟁한 후견인을 얼마든지 설정해 줄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왕건은 박술희 한 명만 달랑 그에게 붙여줬을 뿐이었다. 

정작 제대로 후견인을 둔 고려왕조의 왕은 정종이었다.

왕건은 그의 둘째 아들 정종을 경순왕의 백부 김억렴의 둘째 딸과 결혼시켰다. 

따라서 왕건이 혜종을 정말로 후계자로 여겼는지 의문스럽다.




혜종의 부인 임씨(의화왕후)도 대광(大匡) 임희(林曦)의 딸이자 진주(晉州) 출신으로 나쁜 가문은 아니었지만 실세와는 거리가 멀었다.



대단한 무골이었는지 자신을 살해하려고 잠입한 자객을 맨손으로 때려잡기도 했고 

젊었을 시절에는 왕건을 따라 여러 전장을 누비기도 했다. 

이는 조선 정종과 닮은 점이기도 하다. 

본인의 성품은 인자하고 부드러웠으며 지혜로웠다고 하지만

암살 시도 후 불안감이 절정에 달해 조울증 증세도 보였다고 한다.


블로그 이미지

Preserved_Flow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