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혁명과 언론의 영향력


1950년대 당시 언론인들은 최대의 지식인 계층에 속했다. 

친정부적 성격을 띤 <서울신문>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논조는 이승만 정부에 매우 비판적이었으며 

사회 참여적인 성격이 몹시 강했다. 

각 언론사들의 주필들은 다양한 논설, 사설, 칼럼을 통해 

민주적 가치를 독자들에게 지속적으로 환기하였다.


그래서 이승만은 초기의 언론 자유에 대한 신념을 버리고 탄압 정책으로 전환했다. 

그의 언론 탄압 이력은 적어도 1955년으로부터 시작된다. 

어째 리스트가 좀 많긴 하지만 4.19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1955년 동아일보 "괴뢰" 표기 오식사건
    • 편집상의 실수로 대통령을 암시하는 단어인 "고위층" 앞에 북한을 암시하는 "괴뢰" 단어를 붙여버렸다(...) 200여 부가 인쇄된 후 부랴부랴 회수 및 폐기 처분했지만 이것만으로도 평소 눈엣가시던 동아일보 하나쯤 보내버리는 건 일도 아니었다. 결국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발행인 및 편집인을 불구속 입건.
  • 1955년 대구 매일신문 테러 사건
    • "백주대낮의 폭력은 테러가 아니다". 황당하지만 실제로 당시 경찰 당국의 발언. 정치깡패들은 소재불명으로 처리되고 정작 폭력 행위를 경찰에 신고한 주필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구속.
  • 1957년 류근일 필화사건
  • 1957년 동아일보 "고바우 영감" 필화사건
  • 1958년 함석헌 필화사건
  • 1958년 2.4. 국가보안법 파동
    • 국가보안법의 3차 개정 과정에서 17조 5항이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는 독소조항임이 발견, 이에 반발하는 야당 의원들을 무술 유단자들을 동원하여(...) 한데 구겨넣어버리고 여당 의원들은 자기들끼리만 점심시간에 슬쩍 모여서 통과시켰다.
  • 1959년 경향신문 폐간사건
    • 이 사건은 미군정법령 88호 및 주한 미국 대사인 월터 다울링이 반대의견을 표명하기도 했다. 한편 경향신문사는 행정처분의 가처분 신청이 수용되었으나 이승만 정권은 일이 이렇게 되자 폐간을 철회하고 그 대신 무기발행정지 처분으로 응수했다.


당시의 시대상이 이와 같았고 

이미 언론에 대한 탄압과 정치깡패를 동원한

테러행위, 날조 및 공작행위는 곪을 대로 곪아서 

터지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던 중이었다.


그리고 이들 언론을 구독하는 국민들은 점차로 

이승만 정부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있었고 

'민주주의 국가에서 용납될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는 현실을 자각하고 있었다.







블로그 이미지

Preserved_Flower ♡

,

미국 3대 대통령인 

토머스 제퍼슨의 발언에서 

따온 말로 보인다. 




- "자유의 나무는 매순간 애국자와 압제자의 피로 새로워진다"


(The tree of liberty must be refreshed from time to time with the blood of patriots and tyrants)



1960년 4월, 대한민국에서 

이승만의 자유당 정권이 저지른 3.15 부정선거에 

시민들이 항거하여 대대적인 시위를 일으켜, 

최종적으로는 이승만을 권좌에서 끌어내리고

제1공화국을 종식시킨 위대한 민주주의 시민 혁명. 


한반도 역사상 최초로 공화국에서 독재에 항거하여 일어난 혁명이다.


사상자 사망 185명 부상 1,500여명




배경 :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


이 하위 항목의 서술은

 『한국민주화운동사』 1권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좀 더 학술적이고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는 데는 서적을 읽는 것을 추천한다.


때는 저 6.25 전쟁이 휴전협정으로 막을 내린 지 불과 7년밖에 지나지 않은 1960년.

그때는 이미 국민들 사이에 민주주의를 향한 강렬한 열망이 들끓고 있었다.

민주화를 위한 요구는 적어도 5년 전부터 이미 있어왔던 것이었다.


여기서 궁금증이 생길 수도 있다. 

1950년대가 어떤 시대인가.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겪어가며 잿더미가 되어 전세계의 밑바닥까지 추락한 게 바로 이때였다. 당장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지도 못한 시점에서 어떻게 민주주의라는 숭고하고도 고결한 가치를 위해 목숨을 초개처럼 버릴 수 있었을까? 어떻게 그 시대에 반독재 민주시위가 가능했던 것인가?


1950년대에 민주주의 정신이 국민들의 의식 속에 정착하는 것이 성공한 데에는 몇 가지 꼭 알아야 할 필연적인 사회적 배경이 있다.







블로그 이미지

Preserved_Flow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