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 비판 : 왕자들의 활동
세종은 집권 중반부부터 세자인 문종 외에도
수양대군과 안평대군, 금성대군, 광평대군 등
왕자들이 대외 활동을 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장려했고,
각종 연구 및 정책 수행을 맡겼다.
위에 언급된 세종대왕의 업적에는 왕자들의 이런 조력도 상당히 들어간 편이다.
아버지인 세종처럼 모두들 상당한 재능을 가지고 있어서
세종대왕에게 큰 도움이 된 것은 사실이지만,
그 과정에서 왕자들의 정치적 입지도 비정상적으로 커지기 시작했으며
왕자들 간의 대립도 조금씩 생겨나고 있었다.
쿠데타로 집권한 자신의 경험을 통해
왕자들 간의 대립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알고
각종 안전장치를 마련한 아버지 태종과는 달리,
세종은 이런 위험성에 대해 둔감한 편이었다.
[태종의 안전장치라함은 : 양녕대군이 그 망나니 짓을 해도 질책하고 충고할지언정 마지막까지 그를 세자로 남겨뒀다. 적장자인 양녕이 어떻게든 세자 자리를 지키고 왕위에 올라야 형제 간의 분쟁이 일어나지 않을것이라고 믿었던 것.]
신하들이 이 점을 지적해도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며 경계하지 않았다.
세자 문종과 세손인 단종의 정통성이
워낙 확실했기 때문에 안심한 것으로 추측한다.
적장자 계승이라는 정통성을 놓고 볼 때
원손-세손-세자 테크를 탄 단종보다 더 정통성이 확실한 국왕은
조선 시대 내내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세종의 생각과는 달리 문종이 너무 과로한 나머지 요절해버렸고,
세자빈 문제로 단종의 나이가 어린데다
단종을 지원해줄 마땅한 왕실 어른이 없는 점 등이 방아쇠가 되어 화를 불러왔다.
다른 왕자들, 특히 수양대군의 야심은 그 도를 넘었고 그 결과가 바로 계유정난.
사실 이 왕실 종친의 권력 문제는 중국의 사례를 보더라도 복잡하다.
삼국지에서 위나라의 조조가 환관들을 싫어해서 힘을 주지 않았고
힘을 준 종친들도 늙고 병들어서 죽자 황제를 보호할 울타리가 사라졌고
그 영향으로 힘을 키운 사마의가 일으킨 쿠데타로 너무 쉽게 무너졌다.
이 사건을 기억하는 서진의 황제 사마염은
자기 종친들에게 너무나 많은 힘을 주었고
이는 팔왕의 난의 원인이 되었다.
이 사건의 영향으로 남•북조 시대가 된 중국은 수나라가 통일할때 까지
혼란을 피할수 없었던 걸 보면
종친의 힘을 적당히 유지시켜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역사...알아보니 재밌던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대왕 비판 : 사민 정책 (1) | 2017.02.22 |
---|---|
세종대왕 비판 : 대명사대외교 (0) | 2017.02.22 |
세종대왕 비판 개요 (0) | 2017.02.22 |
홍길동의 조력자 (0) | 2017.02.21 |
허균이 지은 소설 홍길동전(洪吉童傳)의 홍길동의 초능력 (0) | 2017.02.21 |